'학생독립운동 기념일'은 일제강점기 때 일어난 학생 독립운동의 정신을 계승 발전시켜 학생들에게 자율역량과 애국심을 함양시킬 목적으로 제정한 법정 기념일입니다.
일제강점기 6·10 만세사건과 광주학생운동 등 학생 독립운동의 정신을 계승 발전시켜 학생들에게 자율역량과 애국심을 함양시키는 한편, 반독재·민주화 투쟁에 앞장섰던 학생들의 얼을 기리기 위해 제정한 날입니다.
광주학생운동이 일어났던 날을 기념해 매년 11월 3일에 행사를 개최합니다.
1953년 '학생의 날'이라는 명칭으로 국가기념일로 제정되었는데, 이 당시에는 학생보다는 어른들이 많이 참여했습니다.
1973년 3월 30일 이른바 유신시대에 학생들의 반독재·민주화 투쟁이 계속되자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폐지되었습니다.
이후 부활 운동이 일어나 5공 시절인 1982년 9월 14일 '학생독립운동 기념일 제정에 관한 건의안'이 국회에 상정되었고,
1984년 9월 22일에 국무회의는 국가기념일인 '학생의 날'로 부활시키긴 하였으나, 모순적이게도 '학생 시위의 날'이라 할 정도로 민주화 운동의 상징처럼 여겨졌으며,
사회 분위기가 변화된 1990년대에는 의미조차 퇴색되어 잊히는 등 여러모로 부침을 겪다가,
2006년 2월 9일 국회에서 '학생독립운동 기념일'로 명칭 변경이 의결되었습니다.
2011년 6월 7일 학생참여위원회와 서울특별시 교육감 곽노현이 만난 협의회에서 11월 3일 신의주 학생의거 기념으로 12월에 수능이 끝난 고3까지 포함하여 학생참여대회, 학생만민공동회라는 것을 여는 문제로 논의한 적도 있습니다.
학생들이 토론한 것을 광장에 나가서 학생참여위원들이 발표하는 것을 적극 지원한다고 합니다.
행사는 정부 차원의 공식적인 행사보다는 시군구별 교육청의 후원을 받아 지역 교직원노동조합과 참교육실천위원회 등 교직원이나 관련 단체, 또는 학교별로 주관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독립운동이나 민주화에 앞장섰던 학생들의 민족적 자존심과 자주정신을 되새겨 음미하게 함으로써 학생들의 애국애족 정신을 일깨우고, 학생의 본분과 사명을 바르게 인식시키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를 위해 각 학교에서는 학생의 날 기념식을 열고 학급별로 일정한 주제를 선정해 토론회를 여는 한편, 모범학생 표창이나 항일학생 사진전 등과 같은 행사를 하기도 합니다.
또, 지역에 따라서는 청소년들이 삶의 주인으로서의 올바른 인식과 실천의지를 다지고, 건강한 문화를 형성할 수 있도록 연극·글짓기·그림 그리기·풍물놀이·영화 상영 등 청소년 문화행사를 열기도 합니다.
댓글